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사회조사분석사(2급)

[방디] 사회조사분석사(2급) 실기 출제기준 안내 (2020.01.01. ~ 2023.12.31. 적용)

728x90

안녕하세요. 방디입니다.

 

지금까지 사회조사분석사 2급 카테고리에서는 필기 출제기준과 각 과목의 내용을 훑어보았습니다.

아마 지난 3월 7일에 저와 함께 필기시험을 치른 분들도 계실 텐데요.

이번 글에서는 앞으로 준비할 실기의 출제기준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회조사분석사(2급) 실기 출제기준

 

사회조사분석실무

 

통계조사계획

통계조사목적 수립하기

  1, 조사에 필요한 고객의 요구사항을 분석할 수 있다.

  2. 수집된 요구사항에 따라 조사목적을 수립할 수 있다.

  3. 조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조사내용 결정하기

  1. 수립된 조사목적에 따라 조사 가능한 주요 조사 내용을 도출할 수 있다.

  2. 주요 조사 내용에 대하여 측정 가능한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3. 결정된 측정방법을 고려하여 주요 조사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조사방법 결정하기

  1. 결정된 조사내용에 따라 적용 가능한 조사 방법의 목록을 작성할 수 있다.

  2. 조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작성된 조사방법들을 비교분석할 수 있다.

  3. 비교분석 결과에 ᄄᆞ라 최적의 조사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실행계획 수립하기

  1. 조사내용과 방법을 고려하여 조사환경을 분석할 수 있다.

  2. 분석된 조사 환경과 조사예산을 고려하여 조사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3. 조사수행에 필요한 통계조사 실행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표본설계

조사대상 정하기

  1. 수립된 조사 계획에 따라 조사목적에 적합한 모집단을 선택할 수 있다.

  2. 정의된 모집단을 기반으로 표본추출틀을 결정할 수 있다.

  3. 모집단과 표본추출틀을 바탕으로 조사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표본추출방법 결정하기

  1. 조사대상과 표본추출틀에 ᄄᆞ라 표본추출방법의 목록을 작성할 수 있다.

  2. 오차와 비용을 고려하여 최적의 표본추출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3. 결정된 표본추출 방법에 대하여 세부적인 표본추출 절차를 수립할 수 있다.

표본 크기 결정하기

  1. 조사 목적에 ᄄᆞ라 정확도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2. 주어진 예산과 표본추출방법을 고려하여 표본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3. 결정된 표본의 크기에 ᄄᆞ라 표본오차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표본 배분하기

  1. 조사 설계를 위하여 층화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

  2. 층화변수에 따라 층화별 모집단 구성비를 계산할 수 있다.

  3. 층화변수의 모집단 구성비에 따라 할당 표본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4. 층화별 최적 표본크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표본을 배분할 수 있다.

표본 추출하기

  1. 세부적인 표본추출절차에 대한 알고리즘을 개발할 수 있다.

  2. 개발된 알고리즘과 층화별 표본크기에 따라 표본을 추출할 수 있다.

  3. 추출된 표본에 따라 조사 대상 목록을 작성할 수 있다.

 

설문설계

분석 설계하기

  1. 조사목적에 따라 산출할 수 있는 조사 내용을 구체화할 수 있다.

  2. 구체화된 조사내용을 토대로 원시정보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3. 구체화된 조사 내용에 따라 분석모형을 도출할 수 있다.

개별설문항목 작성하기

  1. 분석 설계에 기초하여 필요한 설문 항목들을 구조화할 수 있다.

  2. 개별 설문항목에 ᄄᆞ라 적절한 질문항목을 만들 수 있다.

  3. 개별 질문항목에 따라 적절한 응답항목을 만들 수 있다.

  4. 개별 질문항목과 응답항목 간의 일관성을 검토할 수 있다.

설문시안 작성하기

  1. 정확한 응답을 얻기 위하여 설문 항목들을 구조화할 수 있다.

  2. 설문의 흐름에 따라 지문을 삽입할 수 있다.

  3. 구조화된 설문 내용을 토대로 설문 시안을 작성할 수 있다.

설문지 완성하기

  1. 사전조사를 통하여 설문지 문제점을 점검할 수 있다.

  2. 사전조사결과를 토대로 설문 내용을 보완할 수 있다.

  3. 보완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최종설문지를 완성할 수 있다.

 

실사관리

실사 준비하기

  1. 조사방법에 맞추어 적절한 인원을 선발할 수 있다.

  2. 선발 인력에 대해 필요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3. 선발 인력에게 업무를 배정할 수 있다.

  4. 자료 수집을 위한 필요한 준비를 할 수 있다.

실사진행 관리하기

  1. 수립된 실행계획을 토대로 자료수집 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2. 자료수집 계획서에 따라 실사 진행 사항을 점검할 수 있다.

  3. 점검 결과에 따라 필요조치를 취할 수 있다.

실사품질 관리하기

  1. 수집된 자료의 적합성을 점검할 수 있다.

  2. 정합성 점검을 바탕으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3. 실사 품질관리 결과를 문서화할 수 있다.

 

자료처리

부호화하기

  1. 응답된 설문항목에 기초하여 자료 값이 가질 수 있는 범위를 정할 수 있다.

  2. 개방형 응답 변수에 대한 응답내용을 부호화할 수 있다.

  3. 부호화된 값과 설문항목 간 대응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부호화 지침서를 작성할 수 있다.

자료 입력하기

  1. 자료 분석을 위하여 설문 응답 자료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할 수 있다.

  2. 자료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입력된 자료의 정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3. 정합성 판단 결과를 토대로 오류값을 수정할 수 있다.

  4.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 자료를 기초로 자료 분석용 원시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최종 원시자료 생성하기

  1. 완성된 원시자료파일을 기반으로 각 응답항목에 대하여 빈도표를 작성할 수 있다.

  2. 작성된 빈도표를 토대로 설문 항목별 자료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3. 응답항목별 특성을 기초로 최종 원시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2차 자료분석

2차 자료 선정하기

  1. 조사목적에 부합하는 2차 자료 유형을 조사할 수 있다.

  2. 조사목적에 적합한 2차 자료 후보군을 수집할 수 있다.

  3. 예산과 기간 범위 내에서 조사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2차 자료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2차 자료 수집하기

  1. 선정된 2차 자료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2. 수립한 계획에 따라 2차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3. 조사목적에 따라 수집한 2차 자료를 점검할 수 있따.

  4. 점검 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2차 자료 분석하기

  1.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2차 자료를 분류할 수 있다.

  2. 자료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정밀 분석할 수 있다.

  3. 조사목적에 맞게 분석한 결과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4. 조사목적에 따라 2차 자료 분석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기술통계분석

추정·가설검정 하기

  1. 분석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를 파악할 수 있따.

  2. 분석 목적에 적합한 통계 분석 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의 사전탐색을 통하여 가설을 설정할 수 있따.

  3. 가설 검정을 위한 통계치의 기준을 설정하고 적용할 수 있따.

기술통계량 산출하기

  1. 조사 자료의 다양한 속성을 요약, 정리할 수 있다.

  2. 표본 전체의 전반적인 속성을 파악할 수 있다.

  3. 첨도, 왜도 등을 통해 자료의 기울기와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빈도분석하기

  1. 분석설계에 따라 조사항목별로 빈도분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2. 분석된 결과에 대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교차분석하기

  1. 가설 설정과 가설 검정을 할 수 있다.

  2. 분석설계에 따라 교차분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3. 분석된 결과에 대하여 통계적 의미를 도출할 수 있다.

평균차이 분석하기

  1. 가설 설정과 가설 검정을 할 수 있다.

  2. 분석설계에 따라 분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3. 분석된 결과에 대하여 통계적 검정과 해석을 도출할 수 있다.

 

회귀분석

신뢰도 분석하기

  1. 분석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의 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다.

  2. 수집된 자료의 신뢰도를 확보하고 적용할 수 있따.

상관분석하기

  1. 가설 설정 및 가설 검정을 할 수 있다.

  2. 분석설계에 따라 분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3. 분석된 결과에 대하여 통계적 검정과 해석을 도출할 수 있다.

단순회귀분석하기

  1. 기술통계분석, 평균차이분석, 상관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회귀분석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2. 분석설계에 따라 가설 설정과 가설 검정, 분석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3. 분석된 결과에 대하여 통계적 검정과 해석을 도출할 수 있다.

 

FGI 정성조사

FGI 설계하기

  1. 조사목적에 따라 FGI 주제를 선정할 수 있다.

  2. 선정된 FGI 주제에 부합하는 인터뷰 대상을 선정할 수 있다.

  3. FGI 주제에 부합하는 질문지를 작성할 수 있다.

  4. FGI 진행 환경을 고려하여 진행지침을 작성할 수 있다.

FGI 실시하기

  1. 작성된 진행 지침에 따라 그룹인터뷰를 진행할 수 있다.

  2. 제한된 시간 안에 선정된 주제를 모두 인터뷰할 수 있다.

  3. 인터뷰가 진행되는 동안 적절한 질문과 경청으로 참가자의 응답을 이끌어 낼 수 있다.

FGI 자료 분석하기

  1. FGI 결과를 구체적인 정보단위로 정리할 수 있다.

  2. 정리된 정보를 FGI 목적에 맞춰 분류할 수 있다.

  3. FGI 자료 분석결과를 해석할 수 있다.

  4. FGI 자료 분석결과 및 해석을 보고서 형태로 정리할 수 있다.


출제기준으로 살펴보자니 양이 매우 많아 보이는데요.

저 역시도 아직 실기 준비는 시작하지 않아서, 모르는 용어도 드문드문 보입니다.

필기와 마찬가지로, 실기 역시 제가 학습하는 내용들을 간단히 정리하여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방디 -

 

728x90